top of page

외관 설명       

 

 

 

 

 

 

 

 

 

 

 

 

 

 

 

 

 

 

 

 

 

 

 

 

 

 

 

 

 

 

 

 

 

 

 

 

 

 

 

 

 

 

 

 

 

 

 

 

 

 

동그란 얼굴에 감기다 만 듯 혹은 뜨다 만 듯한 눈. 눈동자는 연녹색이다. 백금발은 머리끝으로 갈수록 청회색으로 바래며 얼굴선을 어깨까지 내려오는 옆머리로 가린다. 뒷머리는 흰 리본이 달린 머리끈으로 느슨하게 묶는다. 풀면 등의 절반을 덮는 길이. 가르마는 1대 9. 갈라진 앞머리 새로 오른 이마에 난 흉터가 드러난다. 입고 있는 카디건은 밤바람이 불어도 으슬으슬하지 않을 만큼 두툼하며 사탕이나 초콜릿 혹은 그 외 뭔가를 무리하게 넣고 다녀서 주머니가 늘어나있다. 또 소매가 길어서 걷거나 접는다. 카디건 안은 연하늘 파자마 차림. 맨발에 헤진 슬리퍼를 신고 있다.

기타 설정       

1) 성격: 또래보다 [조숙]하다. 그 누구보다 어른스러워지길 바라고 있으며 또 그렇게 보이려 하지만 열네 살짜리가 할 법한 행동과 사고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진 않는데 본인은 그 사실을 모른다. 때문에 스스로가 정의한 본인의 모습과 남이 정의한 본인의 모습 간 괴리를 좀처럼 인정하질 않는다. 보육원 교사나 자원봉사자 흉내에 가까우며 다른 아이를 어린아이 취급하는 버릇도 있다.

다정하나 그 근간은 [자기희생]. 본인과 상관없는 일에 시간과 정성을 들이고 그렇게 심신을 축내 본인의 영향력을 입증한다. 결론적으론 본인의 가치를 찾지 못해 불안해하고 있으며 그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자애로워지길 선택한 것.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기보다는 사태 진정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눈 가리고 아웅 식으로 갈등 소강 상태에서만 안주하려는 경향도 있다. 즉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2) 보육원 내에서의 이미지와 아이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아이 중에선 연장자 축에 속하기에 8살 미만의 아이들을 통솔하고 나무 그루터기 같은 곳에 앉아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숟가락질이 서툴면 밥을 대신 먹여주는 등 저보다 어린 아이를 여러 면에서 돌본다. 보육원 교사와 봉사자를 도와 원 내 잡일을 도맡아 했으며 나오 선생님이라 부르는 아이도 있다. 아이 놀아주기 역시 본인 일이라 여긴다. 밤중에 잠자리에 들지 않고 돌아다니거나 떠드는 아이가 있으면 주의를 주는 등 반장 역할을 자처하기도 했다. 이땐 등유 램프를 들고 복도를 순회한다.

3) 머리끈은 <널 데리러 오겠다>고 한 어떤 부부가 남기고 간 것. 부부는 선물을 주고 그 뒤로 보육원에 다시 찾아오진 않았다. 그 뒤로 나오는 외부인이 주는 건 그 어떤 것도 절대 받지 말라는 보육원 측의 새로운 규칙을 전달받았다.

4) 카디건의 주머니에는 사탕이랑 초콜릿이 들어있다. 울 거나 말 안 듣는 아이 달래는 용도로 나오에게 몇 아이를 맡기는 교사가 나눠준 것. 나오 또한 무지 먹고 싶으나 꾹 참고 하루 한 개만 먹는다고 한다.

5) 도심에서 부모 손을 놓쳤는데 그 당시 기억나는 것은 <나오>라는 외침뿐이라고 한다. 아이의 이름으로 추정해 보육원 측은 나오의 설명을 바탕으로 나오를 나오라 부르기로 했었다. 다만 보육원에 도착했을 당시 4살이었고 때문에 나오의 기억은 정확하다 볼 수 없다.

6) 기름이 넉넉한 등유 램프를 하나 가지고 있다. 교사에게 넘겨받은 것.

나오 | 14 | M

관계란           

나오가 신경 써서 돌보고 있는 아이. 잠자리에 들기 전 책도 자주 읽어줬다. 하지만 이야기의 흐름에 의문을 갖는 앤에게 제대로 설명을 못 해서 엉터리 동화를 골라왔다며 혼나기도 한다. 앤은 나오를 여자아이로 착각하고 있으나 여자아이로 있으면 앤과 어울리기 쉰다는 점에서 오해는 일부러 풀고 있지 않음. 나오라고 불린다.

​앤

어렸을 때부터 누나처럼 의지해온 상대. 당시엔 비앙카보다 작아 여러모로 돌봄을 받는 위치였다. 현재는 비앙카보다 본인이 훨 크기에 오빠 노릇을 해보려곤 하나 생각대로 되진 않고 있다. 또 누군가를 잃은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상실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있다.

비앙카

오밤중에 무슨 소리가 나면 동시에 방에서 뛰쳐나오는 등 반장 역할을 자처한다는 점에서 통하는 점이 여러가지다. 서로를 든든하게 생각하고 있음. 행동 대장이 되어 루트가 앞장서고 뒤를 수습하는 것이 나오 몫이 되는 경우가 다수. 둘이 힘을 합쳐 사소한 사건을 해결한 적도 있다.

루트 레드포드

낙엽 책갈피나 풀꽃 반지 만드는 걸 처음 알려준 상대. 또 우연히 제이콥의 노랫소리를 들었고 마음에 들어해서 불러달라했지만 제안하는 족족 거절당했다. 외에도 기도 시간에 어깨를 빌려주는 등 제이콥을 심적으로 위로해주는 위치에 있다. 역할 수행을 제대로 해내고 있다곤 할 수 없지만.

제이콥

나오 선생님의 일손을 도와주는 친구. 놀 줄 모르는 나오에게 노는 법도 알려주고 지루한 일상에 변화도 제안한다. 억지나 강제적인 면이 없다는 점에서 케이시와 어울리기를 나오도 즐거워한다.

케이시 맥퀸

Now Playing - Movie <Coraline> End Credits Soundtrack

bottom of page